일제강점기 창씨개명, 이름까지 빼앗긴 민족의 아픈 기억

 일제강점기 창씨개명, 이름까지 빼앗긴 민족의 아픈 기억

창씨개명(創氏改名)은 일제강점기 말기, 조선인의 성(姓)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식민지 동화정책의 핵심 수단이었습니다. 단순한 이름 변경이 아닌, 민족 정체성과 문화, 정신까지 말살하려 한 제도적 폭력이었으며, 한국인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대표적인 강제 동화정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창씨개명이 시행된 정확한 시기, 정책 배경, 실시 방식, 조선인의 반응,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역사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창씨개명 시행 시기

  • 법령 공포일: 1939년 11월 10일

  • 시행 시작일: 1940년 2월 11일

  • 창씨개명 기간: 1940년 2월 ~ 1940년 8월 10일까지 (6개월 간)
    ※ 이후에도 강제 및 자발적(?) 개명은 지속됨

창씨개명은 1939년 11월, 일본 내무성이 발표한 ‘조선민사령 제19호 - 창씨에 관한 건(創氏ニ関スル件)’을 통해 공식화되었으며, 1940년 2월 11일 일본 국경절인 ‘기념일(기원절, 建国記念日)’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개명이 시작되었습니다.




창씨개명의 의미

  • 창씨(創氏): 기존의 조선 성(姓)을 버리고, 일본식 씨(氏)를 새로 만드는 것

  • 개명(改名): 이름 자체를 일본식으로 변경하는 것

※ 두 제도는 별개지만 함께 추진되어, 일반적으로 ‘창씨개명’이라 하나의 개념으로 묶어 사용




제도의 배경과 목적

항목 내용
배경 1930년대 말 전쟁(중일전쟁~태평양전쟁) 격화 속 식민 통치 강화를 위한 일본화 정책 가속화
목적 조선인을 일본인화(內鮮一體), 민족 정체성 말살, 국민총동원 체제 구축
정치적 의도 성씨 제도를 개편하여 일본식 가족제도(가부장제)를 이식
군사적 필요 전쟁 동원에 조선인을 ‘일본 국민’으로 명목상 동화시켜 징병·징용을 정당화하기 위함




창씨개명의 방식과 절차

  • 창씨개명은 자발적 신청 형식을 띠었으나, 실제로는 공무원, 교사, 학생, 회사원 등은 대부분 ‘반강제’적 상황에 놓임

  • 가족단위로 창씨를 신청하도록 했고, 신청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따름

  • 일정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창씨미이행자’로 취급되어 취업, 진학, 공공기관 이용에 제한




창씨개명 예시

구분 원래 이름 창씨개명 이후
김(金) 가네무라(金村), 가네다(金田) 등
이름 철수 데츠오(てつお), 데츠지로(てつじろう) 등

창씨의 경우, 성(姓)과 씨(氏)를 구분하여, 기존 조선인의 성을 일본식 씨(氏)로 ‘창설(創氏)’해야 했습니다. 이름도 일본 발음과 의미로 바꾸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조선인의 반응

1. 반발과 저항

  • 민족 지도자 및 지식인 중심으로 강한 비판 제기

  • 일부는 신청 거부, 또는 창씨 대신 기존 성을 일본식 발음으로만 표기하는 방식 채택 (예: 김 → 키무라)

2. 불가피한 순응

  • 대부분의 일반 국민은 생계 문제, 교육, 취업 등 실질적 불이익 때문에 신청

  • 특히 공무원, 교사, 학생, 군인 가족 등은 강제에 가까운 상황

  • “강제는 아니었다”는 일본의 주장은 사실상 ‘형식적 자발성’에 불과




창씨개명 등록 현황

  • 창씨 신청 가구 수: 약 80% 이상이 창씨 등록

  • 전체 인구 중 창씨개명 비율: 약 96% 이상

이는 사실상 전 국민이 이름을 빼앗긴 것과 다름없는 수준이었습니다.




해방 이후의 상황

창씨개명 철회

  • 1945년 광복 이후, 조선총독부 폐지와 함께 창씨개명 제도도 자동 폐지

  • 대부분의 조선인은 본래 성명으로 복귀

그러나 일부는...

  • 일부 고위층 및 친일 인사들은 창씨 이름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시도

  • 해방 이후에도 행정 혼선, 주민등록, 호적 문제 등 혼란 발생



창씨개명의 현재적 의미

측면 내용
민족 정체성 침해 이름은 단순한 호칭이 아닌, 정체성과 역사의 상징
식민통치의 상징 가장 강력한 일본화 정책, 문화 말살의 대표 사례
역사 교육의 중요성 후대에 기억하고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역사적 경고
역사 왜곡 대응 일본 극우 세력은 “강제가 아니다” 주장 → 이에 대한 진실 알리기 필요



요약: 창씨개명은 언제, 어떻게 일어났나?

항목 내용
공포일 1939년 11월 10일
시행일 1940년 2월 11일
종료일 1940년 8월 10일 (1차 마감), 이후 자발적(?) 개명 계속
강제 여부 명목상 자발적 → 실제는 강제에 가까운 분위기
창씨 비율 약 96% 이상
주요 목적 민족 말살, 동화 정책, 전쟁 동원 합리화



역사적 교훈

  • 이름을 빼앗긴다는 것은 정체성과 존재를 부정당한 것과 같습니다.

  • 창씨개명은 단순한 이름 변경이 아닌, 식민지 민족에 대한 문화적 폭력이었으며,

  • 우리 사회는 이를 기억하고, 교육하고, 경계함으로써
    국가의 주권, 개인의 존엄, 문화의 독립성을 지켜야 합니다.

창씨개명은 단순한 과거의 일이 아니라, ‘우리 이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역사입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