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는 698년 대조영에 의해 건국된 나라로, 많은 역사적 기록과 문화적 요소를 통해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발해의 정체성은 단순한 새로운 국가의 출현이 아니라, 고구려 멸망 이후 그 유민 세력이 다시 일으킨 고구려의 부흥국으로 평가된다.
발해 건국 주도 세력과 고구려 유민
발해의 건국자인 대조영은 스스로를 고구려 유민 출신임을 분명히 밝혔다. 『삼국사기』와 『신당서』 등의 중국 사서에서도 대조영을 포함한 발해 초기 지도층이 고구려인과 말갈인의 연합 세력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신당서』에는 대조영을 "고구려 별종(渤海高麗別種)"이라 칭하며, 발해가 고구려의 후손임을 강조했다.
고구려가 668년 멸망한 이후, 많은 유민들이 만주 일대로 흩어졌고, 이들은 고구려의 부흥을 꿈꾸며 각지에서 저항 세력을 형성했다. 대조영 역시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고구려의 정신과 문화를 계승하고, 새로운 국가인 발해를 세운 것이다.
국호와 정치 제도 속의 고구려 색채
발해는 초기에 국호를 '진(震)'이라 했지만, 이후 '발해(渤海)'로 변경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고구려의 제도와 문화를 적극 계승했다. 발해의 수도 상경용천부는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성과 유사한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정치 제도 또한 고구려의 귀족 중심의 체제를 일부 유지하면서 당나라의 제도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특히 발해의 지배층 상당수가 고구려계 인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관직명과 군사 조직에서도 고구려식 명칭과 운영 방식이 남아 있었다. 발해가 스스로를 '해동성국(海東盛國)'이라 칭하며 동북아 강국으로 자리 잡은 것 역시, 고구려의 강대국 의식을 그대로 이어받은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대외 인식과 외교 관계에서 드러난 고구려 계승
발해는 외교적으로도 자신들이 고구려의 후계국임을 분명히 했다.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발해는 스스로를 "고려국 왕"이라고 칭하며, 고구려의 정통을 잇는 국가임을 강조했다. 이는 일본이 신라와의 관계보다 발해와의 외교를 중요시하게 만든 요소이기도 했다.
중국의 당나라는 발해를 처음에는 말갈로 인식했지만, 점차 발해의 국가 체제가 고구려를 계승한 것임을 인정하게 된다. 『구당서』와 『신당서』 모두 발해를 고구려의 연장선상에 있는 나라로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의 인식은 발해가 단순한 말갈 집단이 아닌, 고구려 문화와 정체성을 계승한 독자적 국가였음을 보여준다.
문화와 생활 양식에서 보이는 고구려 전통
발해의 고분, 불교 유적, 토기, 청동기 등 다양한 유물에서도 고구려 문화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발해의 무덤 양식은 고구려의 굴식 돌방무덤과 유사했으며, 벽화나 장식에서도 고구려 특유의 화려하고 역동적인 미술양식이 계승되었다.
복식과 식생활에서도 고구려 풍습이 이어졌다. 귀족들의 복장은 고구려 귀족들이 입던 옷과 비슷했고, 말 타기와 활쏘기 등 기마문화 역시 고구려의 전통을 유지했다. 불교 역시 고구려에서 이어받아 발해에서 크게 융성했으며, 이는 발해 전역에 남아 있는 불상과 사찰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발해와 고구려 계승 관련 FAQ 6선
1. 발해의 건국자는 고구려 출신이었나요?
네,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발해는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이 함께 세운 국가입니다.
2.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기록은 어디에 있나요?
중국의 『신당서』, 『구당서』, 일본의 사서, 그리고 발해가 일본에 보낸 외교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발해의 수도는 고구려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발해의 수도 상경용천부는 고구려 평양성을 본떠 설계되었으며, 도시 구조와 궁궐 배치에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4. 발해의 관직 제도도 고구려와 비슷했나요?
네, 발해는 고구려의 귀족 중심 제도를 일부 계승하면서 당나라의 제도를 혼합해 운영했습니다.
5. 발해 사람들은 자신들을 고구려의 후계자라고 생각했나요?
발해는 공식적으로 자신들을 고려국이라 칭하며 고구려 계승을 자부했습니다.
6. 문화유산에서 고구려의 흔적이 남아 있나요?
발해의 고분, 벽화, 불교 유적 등에서 고구려 문화의 전통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