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신이자 시인이며 실용주의 문학의 선구자, 이규보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문학적 업적 총정리

이규보(李奎報, 1168~1241)는 고려 중기 무신정권기를 살았던 대표적인 문신이자 시인이며, 동시에 고려 문학사에서 사대주의를 극복하고 자주적인 민족의식을 문학에 담아낸 매우 중요한 인물입니다. 그는 무신정권이라는 격변의 시대, 특히 최충헌·최우 정권 하에서 벼슬을 하면서도 문학과 학문을 통해 시대를 비판하고, 인간의 내면과 현실을 투영하는 다양한 작품을 남겼습니다.


이규보는 정치적으로도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고, 문학적으로는 한문학과 시, 설화, 산문 등 다양한 장르에서 독자적인 경지를 구축한 인물입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동명왕편』은 고구려 건국 설화를 바탕으로 민족의 기원을 자긍심 있게 서술한 장편 서사시로, 고려인의 자존심을 회복하고자 한 의지가 담긴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규보의 출신 배경과 정치 활동, 문학적 사상, 주요 작품 분석, 시대와의 관계, 그리고 한국 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종합적으로 정리합니다. 고려를 넘어 현대적 시각에서 재조명해야 할 문인으로서의 이규보를 조명합니다.





이규보의 생애 개요

  • 출생과 가문: 1168년(의종 22년), 강원도 평강 출생. 가난한 중소 지주층 혹은 평민 출신이라는 설도 있음.

  • 과거 급제: 1190년(명종 20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 시작

  • 정치 활동: 무신정권기 최충헌과 최우의 후원을 받아 벼슬

  • 사망: 1241년(고종 28년), 향년 74세. 말년에는 중앙에서 물러나 지방에서 여생을 보냄

이규보는 당대의 지식인들과는 다른 실용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으며, 정치와 문학 모두에서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습니다.




무신정권과의 관계

이규보가 활동한 시기는 고려사에서 왕권이 사실상 무신 정권에 의해 대체된 시기입니다. 그는 이러한 군사 권위 시대에 정치적으로는 순응하되, 문학적으로는 비판과 풍자, 자주성 회복을 위한 시도를 끊임없이 전개했습니다.

최충헌·최우와의 관계

  • 최충헌 정권에서 중앙 정계에 진출

  • 최우 시기에는 최우의 총애를 받아 문신 관직과 문학적 후원을 받음

  • 그러나 그는 권력에 아부하지 않으며, 풍자와 직언을 통해 시대를 비판




이규보의 문학 사상

실용주의와 인간 중심 사상

  • 이규보는 문학은 현실을 반영하고 인간을 이해시키는 수단이라 주장

  • 감상적 문학보다는 사회 참여적 문학을 중시

  • 당대 유학자들이 지나치게 형식과 수사에 집착한 문학을 비판

“시란 시대의 거울이며 사람의 마음을 나타내는 소리다” – 이규보

반불교적 경향

  • 이규보는 불교적 관념주의에 회의적 태도를 보임

  • 당시 불교가 사회 질서를 해친다고 판단하여 불교에 대한 비판적 글을 다수 집필

  • 그러나 문화적 관용성을 잃지 않고, 불교 서적의 해석에도 관여




주요 작품과 문학적 의의

1. 『동명왕편(東明王篇)』

  • 고려 중기에 쓰인 장편 서사시로, 고구려의 시조 동명성왕의 건국 설화를 서사시 형식으로 정리

  • 중국 중심 사관을 비판하고, 민족의 자주성과 정통성을 강조

  • 『삼국사기』가 한문사서 중심이라면, 『동명왕편』은 문학적 방식으로 역사를 재구성

문학의 힘으로 역사를 되살리고 민족정신을 고양한 사례로 평가됨


 


2. 『백운소설(白雲小說)』

  • 이규보의 자전적 산문 모음집, 문집의 일부

  • 시문, 소회, 풍자, 고사, 잡기 등이 포함됨

  • 특히 당대의 관료 사회, 귀족 문화, 정치 부조리에 대한 비판이 뛰어남




3. 다양한 시문(詩文)

  • 풍자시: 권력자들의 부정부패를 간접적으로 비판

  • 자연시: 은일 사상과 인생 무상을 노래함

  • 현실 비판시: 민생 고통과 불합리한 사회 구조에 대한 직설적 언급




이규보 문학의 특징

항목특징
언어 사용   한문 중심, 고사 인용이 능숙하고 압축적 표현 뛰어남
문학적 태도   형식보다 내용, 감정보다 이성 중시
정치적 시각   권력에는 순응하되, 부조리에 대한 풍자와 비판 지속
역사 인식   고려 중심의 자주의식, 고구려 정통 계승 강조
사람에 대한 관심   인간 내면의 모순, 인간성의 표현 강조




고려 문학사 속 이규보의 위치

  • 고려 전기 문학이 불교 중심, 의례 중심의 관념 문학이었다면

  • 이규보 이후는 현실 참여, 민족적 자각, 서사 문학의 확산으로 문학 흐름이 변화

이규보는 고려 문학을 단순한 유학적 수사에서 현실 반영의 장르로 끌어올린 인물


 


후대 영향과 평가

시기평가
고려 후기  유학자들에게 모범적 문인으로 추앙, 동명왕편은 자주사관의 자료로 이용
조선 시대  유교적 정통성 강화 시기라 상대적으로 평가 절하, 그러나 문학사에서는 존경
현대  민족문학의 선구자, 현실비판 문학의 원형, 자주성 회복 운동의 상징



이규보 연표 요약

연도사건
1168  강원도 평강에서 출생
1190  문과 급제, 벼슬 시작
1200~1220  최충헌 정권하에서 중용, 『동명왕편』 저술
1230년대  『백운소설』 집필, 정치적 회의 속 은둔 기도
1241  사망, 시호 문정(文靖) 추서



연관 질문 FAQ

이규보는 어떤 인물인가요?
고려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으로, 자주성과 현실성을 중시한 문학을 남긴 대표적 문인입니다.

이규보의 대표작은 무엇인가요?
『동명왕편』과 『백운소설』이 대표작입니다.

왜 이규보는 중요하다고 평가되나요?
조선 이전 시기, 민족 정체성과 현실을 문학에 담은 선구자적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무신정권과 가까웠다는데, 정치적 성향은 어땠나요?
권력자들과 공존하되, 풍자와 직언으로 정치 현실을 비판했습니다.

이규보는 어떤 문학 사상을 가졌나요?
실용주의, 인간 중심, 현실 참여적 문학관을 갖고 있었습니다.

이규보의 문체는 어땠나요?
한문 중심이지만 압축적이고 생생한 묘사로 호평받았습니다.

불교에 반대했다던데 사실인가요?
불교의 무비판적 수용을 비판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문화적 수용성을 보였습니다.

이규보의 문학은 후대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실학 문학, 자주 사관, 서사시 전통 등에서 그의 정신이 계승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