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큰 전환점, 후삼국 통일의 모든 것: 궁예의 몰락부터 고려 건국, 그리고 신라와 후백제의 통합까지
고대 한반도는 통일신라 시대를 거치며 잠시 평화와 일치를 이루었지만, 9세기 후반부터는 중앙집권이 무너지고 각지에서 군웅이 할거하는 혼란의 시대가 도래합니다. 이 시기를 역사에서는 후삼국 시대(後三國時代, 892~936년)라고 부르며, ‘삼국’이라 함은 후고구려(태봉)·후백제·신라를 의미합니다. 혼란한 시대가 길어지는 가운데, 수많은 영웅과 반란 세력이 등장하지만, 결국 이 파편화된 시대를 통일로 이끈 주인공은 왕건이었습니다.
후삼국의 탄생은 단순한 지역 반란이 아니라, 통일신라 말기 지방 세력의 성장, 신라 왕실의 무능, 토지 제도의 붕괴, 호족들의 자율성 강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맞물려 벌어진 결과입니다. 각 지역에서 자치를 선언한 호족들이 자신만의 국가를 세우고 군주를 자칭하면서 새로운 삼국 체제가 재현되었고, 이로 인해 약 40년간 치열한 통일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후삼국의 성립 배경부터 각 나라의 정치적 변화, 주요 전투, 그리고 왕건이 어떻게 고려를 세우고 후백제를 흡수하며 후삼국을 통일했는지까지 입체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으로 완벽히 정리하겠습니다. 단순한 통일 전쟁의 기록이 아니라, 정치 전략, 외교술, 민심 수습, 호족 연합 등의 요소가 얽힌 복합적인 역사 전개 과정임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통일신라 말기 혼란과 후삼국의 등장 배경
신라 중앙 귀족의 부패와 정치 붕괴
9세기 후반, 신라는 점차 왕권이 약화되고 귀족 중심의 정치로 전락합니다. 이는 진골 귀족들의 권력 다툼, 왕위 쟁탈전, 지방 행정력의 마비를 초래했고, 백성들은 삶의 터전을 잃으며 유랑하기 시작했습니다.
농민 봉기와 호족의 성장
대표적인 반란으로 원종·애노의 난(889년)이 발생하고, 이후 농민 항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됩니다. 이 틈을 타 지방에서는 호족(豪族)이라 불리는 군사적, 경제적 기반을 가진 세력들이 등장하며, 중앙정부의 통제를 벗어난 자치 세력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후고구려(태봉)의 성립과 몰락
궁예의 등장과 후고구려 건국
-
출생 배경: 신라 왕족 출신이었으나 왕위 다툼으로 폐위되어 떠돌다 승려가 됨.
-
세력 확보: 900년경 송악(개성)에서 무장 세력을 조직, 강원·경기·충청 북부 지역을 장악.
-
국호 선포: 901년, 국호를 후고구려라 칭하고 자신을 왕으로 칭함.
궁예의 독재와 태봉으로의 개명
-
904년 국호를 마진(摩震)으로 바꾸고, 도읍을 철원으로 옮김.
-
다시 911년 태봉(泰封)으로 개칭하고 왕 대신 ‘미륵(彌勒)’ 자칭, 종교적 지도자 역할까지 강화함.
-
점차 의심병과 폭정으로 측근 숙청이 이어지고, 민심을 잃음.
궁예의 몰락
-
918년, 휘하 장군 왕건과 장수들이 궁예를 폐위시키고 왕건을 새 왕으로 추대함.
-
왕건은 즉위 후 국호를 고려(高麗)로 정하고 본격적인 후삼국 통일 전쟁을 시작함.
후백제의 등장과 성장
견훤의 출신과 건국
-
출신 배경: 상주 출신 하급 군인으로, 군공을 세워 점차 세력 확대.
-
892년 무진주(광주)를 장악하고 900년에 후백제 건국, 완산주(전주)를 도읍으로 삼음.
-
백제 부흥 의식을 내세워 충청, 전라, 경상 서부 지역 장악.
후백제의 정치와 대외 전략
-
철저한 군사력 중심의 통치.
-
신라에 대해 매우 적대적이며, 고려와도 전쟁과 외교를 반복.
신라의 정치적 무력화
-
후삼국 성립 당시 신라는 이미 명목상 왕국에 불과.
-
경순왕(927~935)은 실질적 통치력이 거의 없었고, 후백제와 고려 사이에서 흔들리는 완충지대 역할.
후삼국 통일 전쟁의 전개 과정
왕건의 외교 전략
왕건은 후백제보다 늦게 건국했지만, 다음과 같은 전략으로 주도권을 장악합니다.
-
호족 연합 강화: 각지의 지방 세력과 혼인 동맹, 우호적 관계 유지
-
바닷길 장악: 해상 무역과 군사 보급을 통해 경제적 기반 확보
-
민심 확보: 유민 구제, 농민 지원으로 지지 기반 확보
견훤과 왕건의 충돌
-
927년, 견훤은 경주를 기습해 신라 경애왕을 자살하게 하고 경순왕을 옹립함.
-
이에 왕건은 군사를 보내 견훤과 공산성 전투에서 격돌했지만 패배.
-
그러나 이후에도 고려는 견훤의 세력을 계속 견제하며 세력 균형 유지.
930년 고창 전투
-
고려가 반격에 나서 후백제 군과 고창(안동)에서 대규모 전투.
-
이 전투에서 후백제 대패, 이후 고려의 군사 주도권이 강화됨.
견훤의 몰락과 내분
-
견훤은 장남 신검에게 배신당해 금산사에 유폐됨.
-
탈출 후 936년 왕건에게 귀순, 후백제 정벌을 도우며 고려로 전향.
고려의 최종 통일
935년 신라의 항복
-
경순왕은 더 이상 국가 유지가 불가능하다고 판단, 자발적으로 고려에 항복.
-
경순왕은 고려에서 우대받으며 살아갔고, 신라 왕족은 대부분 고려 귀족으로 편입.
936년 후백제 정벌
-
왕건은 귀순한 견훤과 함께 군을 이끌고, 후백제의 신검을 공격.
-
황산 전투에서 신검의 군대를 격파하고 후백제 멸망.
-
이로써 후삼국 통일 완성, 고려가 한반도의 주도 세력으로 자리매김함.
후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의
왕건의 통합 전략
-
무력보다는 외교와 포용을 앞세운 전략
-
호족 연합과 민심 수습, 지방자치 인정이라는 유연한 통치
-
해상무역과 유학 기반 확보를 통한 국제적 정통성 확보
민족 통합과 고려 건국의 정통성
-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면서도, 신라와 백제 계승 세력까지 통합
-
다민족·다지역 연합국가로서 고려 형성
-
중국, 일본, 거란 등과의 외교도 유리하게 전개
연관 질문 FAQ
후삼국은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났나요?
892년(후백제 등장)~936년(후백제 멸망), 약 44년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후삼국 시대의 삼국은 어떤 나라였나요?
후고구려(태봉)·후백제·신라입니다.
왕건은 어떻게 고려를 세웠나요?
918년 궁예를 몰아내고 즉위하면서 고려를 건국했습니다.
견훤은 왜 아들에게 배신당했나요?
장자 승계 문제로 갈등이 있었고, 아들 신검이 아버지를 유폐했습니다.
고려는 어떤 전략으로 통일했나요?
호족 연합, 해상무역 강화, 민심 수습, 외교력 등을 활용했습니다.
신라는 어떻게 통일 고려에 흡수되었나요?
경순왕이 자발적으로 고려에 항복하면서 평화적으로 통일되었습니다.
후백제는 왜 멸망했나요?
왕위 계승 내분과 군사력 약화, 왕건과의 연합 공격으로 무너졌습니다.
후삼국 통일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대 국가 체제를 종결하고, 고려라는 중세 통합국가 체제를 여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