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사태, 박정희 정권의 종말과 제5공화국의 서막

 10·26 사태, 박정희 정권의 종말과 제5공화국의 서막

1979년 10월 26일, 서울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자신의 심복이자 중앙정보부장인 김재규에게 피살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이 사건은 한국 현대사에서 군부 독재 정권의 종말을 고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의 12·12 군사반란, 5·18 광주민주화운동, 제5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지는 근현대사의 중대한 분기점이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0·26 사태의 배경, 사건 당일의 경과, 주체들의 행적, 사회적 충격과 파장, 이후 정치구도 변화까지 입체적으로 분석하며, 우리가 이 사건에서 되새겨야 할 역사적 교훈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사건 개요

  • 사건 명칭: 10·26 사태 (또는 궁정동 사건,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

  • 발생 일시: 1979년 10월 26일 오후 7시 41분경

  • 장소: 서울특별시 중구 궁정동 중앙정보부 안가

  • 사망자: 박정희 대통령, 차지철 경호실장

  • 주요 가해자: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사건의 배경

1. 유신 체제의 극단적 권위주의

  • 1972년 유신헌법 이후 박정희는 사실상 종신 집권 체제를 구축하며 대통령의 권한을 무제한에 가깝게 확장했습니다.

  • 국회를 해산하고 언론·출판·집회의 자유를 억압하는 등 강력한 통치가 지속되었습니다.

  • 이에 대한 국민의 불만과 저항도 점차 고조되었습니다.

2. 부마항쟁과 전국적 민주화 요구

  •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을 중심으로 부마항쟁(부산·마산 민주항쟁)이 일어나며 유신 체제 반대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 이에 대해 정부는 계엄령 확대와 강경 진압을 시도하며, 국민과의 갈등이 격화되었습니다.

3. 권력 내부의 갈등

  •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청와대 측(차지철 경호실장 등)과 중앙정보부 김재규 라인 간의 권력 다툼이 심화되고 있었습니다.

  • 김재규는 내부 회의에서 여러 차례 개혁적 조치와 유신 체제 완화를 주장했지만, 번번이 묵살당했습니다.





사건 당일의 전말

10월 26일 저녁, 궁정동 안가

  • 박정희 대통령, 차지철 경호실장,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등 9명이 저녁 식사 모임에 참석

  • 자리에서 부마항쟁 대응과 유신체제의 유지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음

  • 김재규는 차지철과 박정희의 강경 입장에 대해 좌절과 분노를 느낀 것으로 전해짐

피격 사건 발생 (오후 7시 41분경)

  • 김재규는 먼저 차지철에게 권총을 쏜 뒤, 곧이어 박정희 대통령에게 총격

  • 박정희는 머리와 가슴을 맞고 현장에서 즉사

  • 현장에 있던 운전기사와 비서관 등은 총성을 듣고 놀라면서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

  • 사건 직후 김재규는 대통령 암살 사실을 신고하지 않고, 서울 시내로 이동





주요 인물 분석

인물 역할 및 의도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사건의 주범. “유신을 종식시키기 위한 민주적 결단”이라 주장
박정희 제3공화국과 유신체제의 대통령, 사건 당일 피살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 강경한 군부 실세, 함께 사망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 12·12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함




김재규의 진술과 논쟁

김재규는 체포 직후부터 재판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행동은 민주화를 위한 정치적 결단이라 주장했습니다.

김재규의 발언 요지

  • “나는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혁명적 조치를 한 것이다.”

  • “유신체제는 이미 국민과의 괴리를 초래했고, 외교·경제적으로도 파국이었다.”

  • “차지철이 대통령을 감싸면서 정치를 망치고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 있는 의문

  • 일부는 김재규의 동기가 순수한 민주화 의지보다는 권력 투쟁의 일환이었다고 분석

  • 계획성과 조직력 부족, 즉흥적 행동이라는 점에서 체계적 쿠데타로 보기 어려움

  • 현재까지도 역사학자들 사이에서는 김재규의 동기와 정당성을 두고 논란이 존재




사건의 파장과 사회적 충격

전국적 충격과 애도

  • 박정희는 18년 간 집권한 강력한 지도자로, 그의 갑작스런 죽음은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었음

  • 서울과 지방에서는 대대적인 국민장이 치러졌고, 보수층의 충격은 매우 컸음

권력 공백과 혼란

  • 대통령직은 헌법에 따라 최규하 국무총리에게 인계, 제4공화국 체제가 유지되었으나 실질적 권력은 공백 상태

  • 군부 내 권력 다툼이 격화되면서 정치 불안 심화





12·12 쿠데타와 제5공화국의 탄생

  • 사건 발생 후 불과 1달 반 뒤, 1979년 12월 12일

  • 전두환과 노태우를 포함한 신군부 세력계엄사령관 정승화를 체포하며 군권 장악

  • 이후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진압과 내란 상황을 거쳐, 전두환이 제5공화국 대통령으로 등장





10·26 사태의 역사적 의의

항목 내용
유신체제 종식 박정희의 피살로 7년간 지속된 유신헌법 체제 붕괴
정치 개혁의 가능성 민주화로의 전환 기대감 확산, 그러나 쿠데타로 좌절
군부 정치의 재등장 전두환 집권의 도화선 제공, 제5공화국 군사정권 성립
시민 사회의 성장 이후 1987년 6월 항쟁의 배경 형성




역사적 평가와 교훈

  • 박정희 시대의 종언은 독재 체제가 내부의 모순으로 무너졌음을 보여줌

  • 김재규의 행동은 아직도 “정의로운 저항”인지, “권력투쟁”인지 해석이 분분

  • 민주화는 결코 우발적 사건만으로 이뤄지지 않음, 시민사회의 끊임없는 요구와 준비가 필요





FAQ: 10·26 사태 관련 질문

Q1. 김재규가 박정희를 죽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A1. 겉으로는 유신체제 종식과 민주화 회복을 위한 결단이라 주장했으나, 권력투쟁의 성격도 함께 있었습니다.

Q2. 박정희 사망 직후 누가 대통령이 되었나요?
A2. 헌법에 따라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고, 이후 정식 대통령에 취임했습니다.

Q3. 김재규는 어떤 처벌을 받았나요?
A3. 군사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80년 5월 24일 형이 집행되었습니다.

Q4. 이 사건은 쿠데타인가요?
A4. 체계적 쿠데타는 아니며, 특정한 정치적 목적을 가진 암살 사건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이후 군사정권으로 연결됩니다.

Q5. 차지철은 왜 죽었나요?
A5. 김재규가 먼저 차지철에게 총격을 가했고, 현장에서 사망했습니다. 당시 경호체계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6. 박정희 사망 후 유신헌법은 어떻게 되었나요?
A6. 유신헌법은 해제되었고, 최규하 정부와 전두환 정부를 거쳐 1987년 6월 민주항쟁 후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Q7. 박정희의 죽음을 국민들은 어떻게 받아들였나요?
A7. 충격과 애도 속에서도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는 정치 개혁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Q8. 이 사건을 계기로 민주화가 빨라졌나요?
A8. 단기적으로는 군부 쿠데타로 민주화가 좌절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6월 항쟁 등 민주화 운동의 불씨를 키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0·26 사태는 단지 한 지도자의 죽음이 아니라, 한 체제의 붕괴와 새로운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역사적 전환점이었습니다. 그 충격과 여운은 이후 10년 간 한국 현대사의 흐름을 좌우했으며, 오늘날에도 권력의 본질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남아 있습니다.



다음 이전